728x90
반응형

붓글씨 133

먹갈기

그동안 붓글씨를 먹물을 사서 습사를 하였다. 인터넷과 택배제도가 워낙이나 잘되어있다보니 저렴한 가격에 구입하기도 쉽고 사용하기도 편리하여 이용하였는데,어느날 가만히 생각해보니 이건 아니구나 싶다. 붓을 든다는 자체가 정신수양과 더불어 스스로를 갈고 닦는 방편의 하나인데 먹물을 사서 붓을 든다는 것이 조금 모순인듯 느껴진 것이다. 주변에 붓글씨를 쓰는 사람에게 물어보아도 직접 먹을 들고 갈아서 글씨를 쓴다고한다. 오래전에 가수나훈아가 인터뷰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국민적 가수인데 열심히 공부하고 책을 읽으며 가끔 붓을 든다고하는데,직접 먹을 갈아 붓을 잡는다고한다. 힘들고 어렵고 화나는 세상사의 온갖 잡념과 상념들을 먹을 갈면서 분을 삭이고,잘못된 것을 뉘우치고 반성하면서 먹물을 만..

붓글씨 2023.08.24

청벽유고 베껴쓰기를 마치고...

지난5월11일부터 시작한 청벽유고 베껴쓰기를 마친다. 근 100일에 걸쳐 책을 펼쳐놓고 무작정 베껴쓰기를 하면서 두 계절이 지나갔다. 봄에 시작한 것이 뜨거운 여름을 지나고 마침 오늘도 여름이 그 마지막 더위를 쏟아내듯 덥다. 그래도 오후가 되니 조금 바람이 불어오는데 시원한 바람이니 여름의 더위도 수그러들것 같다.한여름의 더위에도 창문만 열고 선풍기하나 틀지않고 좌탁에 앉아 붓을 들고 베껴 쓴 것이 적지않은 분량과 시간이었다. 그래도 세월의 흐름은 어김이 없어 봄이 지나고,이제 뜨겁던 여름도 그 기운이 다해가는 듯하다. 내일과 모레 비가 내린다니 비가 내린후에는 더위가 저마치 물러가 있으리라.가르쳐주고 지적해 주는 사람없이 혼자 붓을 잡고 베끼다가보니 무엇이 잘 되었고, 무엇이 잘못되었는지 알지를 못한..

붓글씨 2023.08.21

비오는날의 여유

인생이막의 취미생활로 잘 선택한 것이 서예와 국궁이다. 산행,트레킹,라이딩,캠핑등 다양하게 야외활동을 즐기고있는데 추가로 국궁을 배우기 시작한지가 4년차를 접어들고 있으며,특별한 일정이나 약속이 없으면 아침식사후 활터를 올라 오전시간을 습사를 하면서 심신을 단련한다. 오후에는 조용히 자리에 앉아 습사지 앞뒷면을 붓글씨연습을 한다. 야외활동후 조용히 실내에서 즐길수 있는 것으로 서예를 선택하였던 것이다. 무더운 여름날 시원한 대청마루에 모시적삼을 입고 붓을 들고 글을 써가는 모습을 상상하면 운치도 있고 폼도? 나는 것 같다. 누구는 퇴직하여 생활하면서 심심하고 지겨운 나날이라고 하는데, 할것이 많고 또 즐길수있으니 그것 또한 복이다.오늘은 활터에 행사가있어 습사가 불가하니 아침부터 붓을 들고 글씨를쓰면서 ..

붓글씨 2023.07.16

청벽유고(靑壁遺稿) 베껴쓰기

청벽은 퇴계 6대손인 이수연의 호이고,집안의 어른이 되시는 분이다. 벼슬을 마다하고 퇴계어른의 유서들을 모으는 작업과 더불어 많은 시를 남기셨다. 후손들이 그 뜻을 기려 한문판 청백유고에 이어 한글판 청백유고를 편찬하였으니, 한권을 받아 보관하다가 서가에서 잠재울 것이 아닌것 같아 읽어 볼 겸 한번 따라 써 보기로 하였다. 글자가 작아 보는 것만으로도 눈이 침침하며, 특히나 한자는 획이 많아 육안으로 분별하기 힘들어 돋보기를 들고 바라보아야한다. 그럼에도 접해서 써보고 싶은 것은 조상께서 남긴 것이기도하고, 일면으로는 나이가 들어가는 징조이기도 하리라.

붓글씨 2023.05.11

서경(書經)베껴쓰기를 마치고

서경을 베껴쓰기가 끝났다. 쉽게 접할 수 없고 읽기도 어려운 책을 붓글씨 교본으로 놓고 쓰다보니 어느세월에 마지막 장이 넘어간다. 부지런함과 끈기의 결실이 대단함을 다시한번 느낀다. 4월8일에 시작하여 하루 두장씩을 거의 빠짐없이 쓰다보니 한달이 조금지나 그 끝장을 넘기게 된다. 작은 글씨를 보려니 눈이 가물거리고 제대로 보이지않아 확대경을 들고 보고는 그대로 베껴쓰기를 지속하였더니 시력이 더욱 나빠진것 같아 우려스럽다. 이제 더이상 렌즈를 조절하여 시력을 향상시키기는 어렵다는 이야기를 듣고 있는 중이다. 그렇지만, 논어의 “배우고 익히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면 不亦說乎아) 문구도 좋다. **서경은 오경(五經) 중의 하나로, 중국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정치를 기록한 책이다. 고대에는 제도상..

붓글씨 2023.05.10

서경(書經)베껴쓰기

서경을 베껴 쓰고있다. 한권으로 된 중용,시경,서경을 지난 겨울에 구입하여 베껴 쓰기를 시작하였는데 중용과 시경편을 마치고 서경을 열심으로 베껴 쓰는 중이다. *서경 오경(五經:유교의 다섯 가지 기본 경전. 일반적으로 "역경(易經)" · "서경(書經)" · "시경(詩經)" · "예기(禮記)" · "춘추(春秋)" 를 이른다) 중의 하나로, 중국 상고시대(上古時代)의 정치를 기록한 책이다 고대에는 제도상으로 사관(史官)이 있어 나라 안에서 일어나는 모든 정치적 상황이나 사회 변동·문물 제도 등을 낱낱이 문자로 기록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옛날에는 그저 서(書)라 일컬었으며 때로는 왕조(王朝)의 이름을 위에 얹어 우서(虞書)·하서(夏書) 등으로 일컫기도 하였다. 공자(孔子)는 이 서를 대단히 중히 여겨 번잡한..

붓글씨 2023.04.08

시경(詩經)베껴쓰기를 마치고

작년말 종로에 나갔다가 사 온 한권으로 된 중용,시경,서경을 펼쳐놓고 붓글씨로 베껴쓰기를 시작하였고, 중용을 쓰고 시경에 들어가니 글자가 워낙 촘촘하여 잘 보이지 않으니 확대경으로 보고 쓰기에도 눈이 아파 잠시 멈추었다가 다시 쓰기 시작해 오늘 시경을 마쳤다. 305편의 시가를 하루 두어편씩 베껴 써 왔는데 그냥 원문을 한번 읽고 한글 해석본을 보고는 단순하게 베껴 쓰는 것인데도, 한번 쓰는데 삼사십여분이 족히 걸린다. 흐릿한 글자를 확대경을 들여다보며 써 왔는데 마치고 나니 어찌 되었던 뿌듯한 마음이다. 내용을 정독하지도 않았고 글씨도 제대로 되는지도 모르게 시간을 투입하여 써왔는데, 그래도 끝까지 읽고 써봤다는데서 마음속 성취감을 느껴본다. 누가 뭐라고하던 내가 만족하고 좋으면 그것으로 족하지 않는가..

붓글씨 2023.03.21

시경(詩經)베껴 쓰기

작년 연말에 구입한 도서 중용,시경,서경을 틈나는 대로 베껴 쓰다가 중용편을 마치고 글자가 작아 돋보기를 들었다 놓았다하며 보기가 힘드니 잠시 쉬었다가 다시 시경을 시작한다. 읽어 보는 것이 아니라 붓글씨로 베껴 쓰고는 그 풀이를 한번 훑어 보는 정도이니 정독의 개념과는 다르다. 그래도 하루 한두편을 읽는 셈이니 완전한 이해가 되지는 않더라도 시경을 훑어보았다는 시늉은 할 것 같으며 거의 매일 붓을 잡으니 비록 지도해주는 스승은 없어도 세월이 지나며 조금씩 글씨가 발전이 되는 것도 같다. *시경에 실린 노래들은 철기鐵器의 보급으로 농경문화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봉건제가 정착되어 사상과 예술이 처음으로 활짝 피던 주왕조 초에서 전국戰國 중기에 불려졌다. 본디 3,000여 편이었던 것을 에 의하면 공자가 3..

붓글씨 2023.03.01

上善若水(상선약수)

天下皆知美之爲美(천하개지미지위미), 斯惡已(사오이). 皆知善之爲善(개지선지위선), 斯不善已(사불선이). 천하사람이(天下) 모두(皆) 아름다운 것을(美之) 아름답다고(美) 여길(爲)줄 알지만(知), 이것은(斯) 추한 것(惡) 뿐이다(已). 모두(皆) 선을(善之) 선하다고(善) 여기줄(爲) 알지만(知), 이것은(斯) 선하지 않은 것(不善) 뿐이다(已). 是以聖人處無爲之事(시이성인처무위지사), 行不言之教(행불언지교) 이때문에(是以) 성인(聖人)은 하려고 함이 없는(無爲之) 일(事)에 거처하고(處), 말하지 않는(不言之) 가르침(教)을 행하고(行) 萬物作焉而不辭(不始)[不爲始](만물작언이불사위시), 生而不有(생이불유), 為而不恃(위이불시), 功成而弗居(공성이불거). 만물(萬物)이 거기에서(焉) 일어났지만(作而)..

붓글씨 2023.02.14

중용,시경,서경

오랫만에 고요한 아침에 자리에 앉아 붓을 들어본다. 조용한 음악의 선율이 흐르는 가운데 달콤한 커피한잔을 마시며 몰두하니 오랫만에 느껴보는 좋은아침이다. 도반의 생일이 해외여행중에 잡혀 주말에 출가한 아이들이 모여 축하하며 일박이일을 보내고 오늘은 코로나로인해 3년6개월만에 떠나보는 해외여행의 출발일이다. 애초 겨울나라 아이슬란드를 가보고 싶었는데 추위에 약한 도반이 싫다고하여 일본을 계획하였다가 따뜻한 태국의 치앙마이로 결정하였다. 버킷리스트중 하나가 치앙마이 한달살기여서 패키지여정의 일정잡기가 애매하여 아예 한달살기로 가자고하니 소심한 도반은 일단 한번 가보고 와서 결정하자니 따를 수 밖에 없다. 12월초 모임이 있어 약속시간보다 이르게 종로3가를 나가 이곳저곳을 둘러보는데 마침 고서적을 파는 곳이 ..

붓글씨 2022.12.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