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붓글씨 129

詠子規,長安寺,贈金台鉉

- 詠子規(영자규) - 許愈 客散西園意轉凄(객산서원의전처)한데, 牧丹花靜月初低(목단화정월초저)를. 千古騷人頭白盡(천고소인두백진)이나, 南山終夜子規啼(남산종야자규제)를. - 자규(子規)를 노래하다 - 서쪽 정원에 객이 다 떠나니 서글픔이 이는데, 목단 꽃은 다소곳하고 달은 막 지려하는구나. 천고의 시인들은 백발이 되어 저승길 다 갔지만, 남산의 자규(子規)는 밤이 다하도록 울부짖는구나. - 長安寺(장안사) -申佐模 矗矗尖尖怪怪奇(촉촉첨첨괴괴기)하니, 人仙鬼佛摠堪疑(인선귀불총감의)를. 平生詩爲金剛惜(평생시위금강석)이나, 及到金剛便廢詩(급도금강편폐시)를. - 장안사(長安寺) - 우뚝하고 뾰족하고 괴이하고 신기하기에, 사람·신선·귀신·부처님이 모두다 의아해 하네. 평생의 시 공부는 금강산을 읊기 위해서였는데, ..

붓글씨 2022.06.21

悼亡妻歌,偶詠,夢遊山寺

- 悼亡妻歌(도망처가) -金正喜 那將月老訟冥司(나장월노송명사)하야 來世夫妻易地爲(내세부처역지위)오. 我死君生千里外(아사군생천리외)하야 使君知我此心悲(사군지아차심비)를. - 죽은 아내를 애도하는 노래 - 어쩌면 월하노인에게 저승의 관리와 송사케 하여 내세엔 부부가 뒤바뀌어 태어나게 할까. 그땐 그대가 살아있고 내가 천리 먼 데서 먼저 죽어 그대에게 지금 나의 이 슬픔 맛보게 하리라. - 偶詠(우영) - 徐憲淳 山窓盡日抱書眠(산창진일포서면)한데, 石鼎猶留煮茗煙(석정유유자명연)을. 簾外忽聽微雨饗(염외홀청미우향)한데, 滿塘荷葉碧田田(만당하엽벽전전)을. - 우연히 짓다 - 산창 아래 해가 지도록 책을 안고 졸고 있는데, 돌솥 가에는 아직도 차 끓이는 연기 서려있네. 주렴 밖에서 홀연히 가랑비 소리 들리는데, 연못..

붓글씨 2022.06.20

卽事,茶山花史,艱飮野店

- 卽事(즉사) - 金鍾秀 簷外松籬籬外溪(첨외송리리외계)라, 小池荷葉與波齊(소지하엽여파제)를. 林花自落無人到(임화자락무인도)한데, 時有幽禽三兩啼(시유유금삼양제)를. - 눈앞의 일을 쓰다 - 처마밖엔 소나무 울타리, 울타리밖엔 시내, 작은 연못 위 연꽃은 물결과 나란히 피었네. 수풀의 꽃은 홀로 져도 와보는 사람 없는데, 때마침 산새 두 세 마리가 찾아와 울어주네. - 茶山花史(다산화사) - 丁若鏞 都無書籍貯山亭(도무서적저산정)하고, 唯是花經與水經(유시화경여수경)을. 頗愛橘林新雨後(파애귤림신우후)하니, 巖泉手取洗茶甁(암천수취세다병)를. - 다산(茶山)의 꽃 이야기 - 초당(草堂)에는 도무지 서적이라곤 없고, 오직 꽃과 물에 대한 책만 있구나. 비가 막 지난 뒤의 귤 숲은 정말 멋스러우니, 바위샘물을 손으로..

붓글씨 2022.06.19

釣臺懷古,大風,晩村雨後

- 釣臺懷古(조대회고) -金時泰 七里灘頭舊釣臺(칠리탄두구조대)에 蒼苔錦石淨無埃(창태금석정무애)를. 秪今不見羊裘客(지금불견양구객)하고 沙上惟餘白鳥來(사상유여백조래)를. - 조대(釣臺)에서의 회고 - 칠 리의 여울 머리 옛 낚시터에 푸른 이끼 낀 비단 같은 바위엔 먼지 한 점 없네. 지금엔 양가죽 옷 걸친 낚시꾼은 보이지 않고 오직 모래 위엔 백구(白鷗)만 남아 오갈 뿐…. - 大風(대풍) - 姜後奭 獨夜殘燈坐讀書(독야잔등좌독서)한데, 寒聲忽起打窓虛(한성홀기타창허)를. 飛廉何事欺吾老(비렴하사기오노)요. 偏入窮村捲草廬(편입궁촌권초려)를. - 큰 바람 - 외로운 밤 희미한 등불 앞에 앉아 독서를 하는데, 차가운 소리 홀연히 일어나 빈 창을 때리는 구나. 바람 신(神)은 무슨 일로 늙은이를 놀리는가. 하필이면 궁..

붓글씨 2022.06.18

路上有見,貧家女,幽居卽事

路上有見 姜世晃 凌 波 羅 襪 去 翩 翩 (능파나말거편편) 一 入 重 門 便 杳 然 (일입중문편묘연) 惟 有 多 情 殘 雪 在 (유유다정잔설재) 屐 痕 留 印 短 墻 邊 (극흔유인단장변) 길에서 보고 비단 버선 사뿐사뿐 발걸음도 단아한데 중문을 한 번 들어서자 그 모습 간 곳 없네 다정도 하여라, 잔설이 아직 덮여 있어 키 낮은 담장을 따라 신발자국 찍혀 있네 - 貧家女(빈가녀) - 劉光澤 拾穗山田薄暮歸(습수산전박모귀)하니, 穉兒匍匐啼柴扉(치아포복제시비)를. 吹火濕薪烟不起(취화습신연불기)하니, 夕餐還到鷄鳴時(석찬환도계명시)를. - 가난한 집의 연인 - 산비탈 밭에 이삭을 줍다가 저물어 돌아오니, 어린 아기는 기어 나와 사립문에서 울고 있네. 젖은 땔감에 불을 지펴도 연기조차 일지 않으니, 저녁밥 먹고 나..

붓글씨 2022.06.17

題僧軸, 湖行絶句 , 戱題

제승축(題僧軸) - 스님의 두루마리에 쓰다. 임유후(任有後) 1601 – 1673 山擁招提石逕斜 洞天幽杳閟雲霞 산옹초제석경사 동천유묘비운하 산온통 절을안아 돌길이 가파른데 골짜기 깊고깊어 구름에 잠겨있다 居僧說我春多事 門巷朝朝掃落花 거승설아춘다사 문항조조소락화 스님은 봄이라서 일많다 말하면서 아침마다 문앞에서 진꽃을 비질하네. 호행절구(湖行絶句) - 충청도를 지나면서 지은 절구 김득신(金得臣) 1604 – 1684 湖西踏塵向秦關 長路行行不暫閑 호서답진향진관 장로행행불잠한 충청도 다지나서 서울로 향해가니 길멀어 가도가도 눈돌릴 짬이없네 驪背睡餘開眼見 暮雲殘雪是何山 여배수여개안견 모운잔설시하산 나귀등 선잠깨어 눈뜨고 바라보니 석양에 남은흰눈 산이름 모르겠네 - 戱題(희제) -李惟泰 水面天心一段淸(수면천심일단..

붓글씨 2022.06.14

楊柳詞,彈琴臺,新燕

楊柳詞(양류사)-琴恪(금각) 送君心逐光風去(송군심축광풍거) : 당신을 보낸 아쉬움에 내 마음 광풍을 쫓아가니 去掛江頭綠柳枝(거괘강두록류지) : 강가 푸른 버드나무 가지에 걸렸네 綠柳能知心裏事(록류능지심리사) : 버드나무 내 마음 다 알겠거니 煙絲强欲繫郎衣(연사강욕계낭의) : 실버들이여 억지로라도 임의 옷자락 잡아다오 - 彈琴臺(탄금대) -李明漢 片雲飛雨過琴臺(편운비우과금대)한데, 招得忠魂酹酒回(초득충혼뢰주회)를. 欲問當時成敗事(욕문당시성패사)나, 暮山無語水聲哀(모산무어수성애)를. 조각 구름, 흩어지는 비 탄금대를 지나는데, 충혼(忠魂)들 불러모아 술을 먹여 보내었네. 당시의 성패사(成敗事)를 묻고자 하나, 저문 산은 말이 없고 물결만 애달프게 우는구나. 新燕(신연) 李植(이식) 萬事悠悠一笑揮(만사유유일소..

붓글씨 2022.06.12

漁舟圖,大同江,破鏡

어주도(漁舟圖) 고기잡이 배 고경명(高敬命, 1533~1592) 蘆洲風颭雪漫空(노주풍점설만공) 沽酒歸來繫短蓬(고주귀래계단봉) 橫笛數聲江月白(횡적수성강월백) 宿禽飛起渚煙中(숙금비기저연중) 갈대밭에 바람 일고 눈보라 몰아쳐 술 받아 돌아와서 쪽배를 묶는데 피리 소리 몇 가락 강물 위로 달 밝아 자던 새 몇 마리가 물안개 속을 나누나 大同江(대동강) 李廷龜 防草萋萋雨後多(방초처처우후다)한데, 夕陽洲畔采菱歌(석양주반채릉가)를. 佳人十幅綃裙綠(가인십폭초군록)하니, 染出南湖春水波(염출남호춘수파)를. - 대동강(大同江) - 비 온 뒤라, 방초(芳草)가 무성히 불어났는데, 석양의 섬 가에는 채릉가(采菱歌) 소리 들려오네. 고운 그녀의 열 폭 생사(生絲) 치마는 푸른빛 머금었으니, 남호(南湖)의 봄 물결에서 물감을 짜내..

붓글씨 2022.06.11

陶原卽事,宮柳詩, 西江

陶原卽事(도원즉사) 도원에서의 일을 쓰다. 조헌(趙憲) 靜裏冥觀萬化源(정리명관만화원)하니, 一春生意滿乾坤(일춘생의만건곤)을. 請君莫問囊儲乏(청군막문낭저핍)하라. 山雨終朝長菜根(산우종조장채근)을. 고요 속에 뭇 조화의 근원 통찰해보니, 봄이 품은 생명의 의지 천지간에 가득 찼네. 청컨대, 그대는 주머니가 비었음을 근심 마라. 산 비가 아침 내내 내려 풀뿌리 길러주나니. 宮柳詩 權韠 宮柳靑靑花亂飛 (궁류청청화난비) 궁궐의 버들 푸르고 푸르른데 꽃잎은 어지러이 흩날려 ​滿城冠蓋媚春暉 (만성관개미춘휘) 성안에 가득 벼슬아치들 봄빛에 아양을 떠네 ​朝家共賀升平樂 (조가공하승평락) 조정 태평세월 입모아 노래하지만 ​誰遣危言出布衣 (수견위언출포의) 뉘라서 포의로 쫓겨 날지언정 바른 말 하게 하나 -西江(서강)- 韓濩..

붓글씨 2022.06.10

贈妓湖南月, 贈朴思菴淳

贈妓湖南月[증기호남월] 玉峯 白光勳[옥봉 백광훈] 기녀 호남월에게 주다. 一曲淸歌洛下聞[일곡청가낙하문] : 맑은 노래 한 곡조로 서울에 소문이 났고 王孫臺閣舊羅裙[왕손대각구라군] : 왕손의 누각에서 비단 치마 오래 묵었네. 繁華散盡隨流水[번화산진수류수] : 번화함 다 흩어지며 흐르듯 물을 따르며 舞向秋風淚滿雲[무향추풍루만운] : 추풍에 춤을 추려니 구름에 눈물 가득하네. - 贈朴思菴淳(증박사암순) - 小屋高懸近紫微(소옥고현근자미)한데, 月邊僧影渡江飛(월변승영도강비)를. 西湖處士來相宿(서호처사래상숙)하니, 東岳白雲沾草衣(동악백운첨초의)를. - 사암(思菴) 박순(朴淳)에게 주다 - 작은 암자 벼랑 높이 걸려 자미성(紫微星)에 가까운데, 달 곁에는 스님의 그림자 날듯이 배타고 강을 건너네. 서호(西湖)의 처사..

붓글씨 2022.06.09
728x90
반응형